사회복지 실천에서 사정도구 '생태도(Ecomap)' 활용법 완벽 가이드

사회복지 실천에서 **생태도(Ecomap)**는 클라이언트가 가족, 친구, 지역사회 등 다양한 사회체계와 맺는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사정도구입니다.

특히 초기 상담, 문제 진단, 자원 연계, 개입계획 수립 과정에서 활용되며,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취약점을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글에서는 생태도의 개념부터 작성 방법, 실제 활용 사례까지 단계별로 정리하여 실천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사회복지사의 사정상담을 하고 있다

1. 생태도(Ecomap)란?

생태도(Ecomap)는 1970년대 사회복지학자 **앤 하트만(Ann Hartman)**에 의해 개발된 시각적 사정도구로, 개인이나 가족이 환경 속에서 다양한 사회체계와 어떤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를 도식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삶을 둘러싼 자원, 스트레스 요인, 사회적 관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

 

자료 : 엄명용 외(2015).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학지사, 118.

 

2. 생태도의 개념과 특징

  • 환경 속 인간 중심: 생태도는 생태학적 관점에 근거하여,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합니다. 즉, 개인을 둘러싼 생태체계(가족, 학교, 직장, 의료기관 등)와 그 관계의 성격을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

  • 시각적 이해 촉진: 텍스트가 아닌 그림으로 표현되므로, 사회복지사뿐 아니라 클라이언트도 쉽게 자신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자원과 에너지 흐름 표현: 생태도는 개인에게 유입되는 에너지(지지, 자원)와 유출되는 에너지(스트레스, 갈등 등)를 표시하여, 어떤 자원이 도움이 되고 어떤 관계가 소모적인지를 파악하게 해줍니다.

  • 문제해결 도구: 초기 사정뿐만 아니라 서비스 개입 중간 및 종결 시점에도 반복해서 작성하여 클라이언트의 변화 과정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를 **연속생태지도(Sequential Ecomap)**라고 합니다.

3. 생태도의 기능

1) 클라이언트 이해

  • 클라이언트의 가족, 친구, 이웃, 기관과의 관계 속에서 느끼는 지지나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합니다.
  • 어떤 외부 체계와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단절되어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2) 사회체계 분석

  • 가족생활, 입양, 위탁가정 연구 등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됩니다.
  • 클라이언트가 접하고 있는 집단이나 기관들과의 관계를 확인하여 서비스 연계를 원활히 합니다.

3) 사례기록 보완

  • 생태도는 기본적인 사회적 정보를 시각적으로 간단히 정리할 수 있어, 기존 사회력(social history)이나 사례 기록(case record)의 보조 자료로 활용됩니다.

4) 문제 인식 및 해결 방향 도출

  • 클라이언트와 함께 생태도를 검토함으로써, 문제의 핵심을 이해하고, 건설적인 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자원 동원, 갈등요소 조정 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데 유용합니다.

4. 생태도 작성 방법

구성 요소
설명
중심원
클라이언트(개인 또는 가족 전체)를 중앙에 원으로 표현
외부원
학교, 직장, 친구, 이웃, 병원 등 외부 체계를 주변 원으로 표현
연결선
중심원과 외부원을 연결. 선의 형태에 따라 관계의 성격 표현
✔ 실선: 긍정적, 강한 지지 관계
✔ 점선: 약한 관계
✔ 물결선 또는 X자 선: 갈등, 스트레스 관계
방향 표시
자원의 흐름(유입/유출)을 화살표로 표현할 수 있음

5. 활용 예시

  • 가정폭력 피해 여성: 가족 내 갈등선, 지역 상담소와의 지지관계, 경제적 어려움 등 표현
  • 청소년 클라이언트: 학교, 또래, 부모, 학원 등과의 관계망을 통해 스트레스 원인을 시각화
  • 노인 클라이언트: 병원, 복지관, 자녀, 이웃과의 연결망을 통해 고립 여부 및 지원체계 확인

6. 실천적 활용 팁

  • 생태도는 클라이언트의 주관적 인식을 반영해야 하므로, 반드시 클라이언트와 함께 그리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 작성 이후에는 클라이언트와 함께 해석하고, 어떤 자원을 활용할 수 있을지, 어떤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을지를 논의하는 과정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 생태도는 고정된 도구가 아니라, 시간 흐름에 따라 유동적으로 바뀌는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입니다.

📚 참고문헌

  1. Hartman, A. (1995). Diagrammatic Assessment of Family Relationships. In E. S. Clark (Ed.), Social Work Practice.
  2. 이인정·최혜지 (2022).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나남출판.
  3. 최선화 외 (2019).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학지사.
  4. 김기환 (2021). 「사회복지 사정도구로서 생태도와 유용성」. 사회복지실천연구, 7(1), 35-50.

5. 엄명용 외(2015).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학지사, 118.

🏷️ 태그

#사회복지사 #생태도 #사정도구 #사회복지실천 #클라이언트중심 #관계망분석 #사회복지기술 #Ecomap #사회복지전문도구 #연속생태지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