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전은수교수와 함께하는 사회복지 이야기

사회복지 실천의 핵심! 7가지 기초기술 완벽 정리 본문

사회복지

사회복지 실천의 핵심! 7가지 기초기술 완벽 정리

전은수교수 2025. 2. 5. 07:27
728x90
반응형
SMALL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의 중요성

사회복지실천은 다양한 환경과 상황 속에서 클라이언트의 복지를 증진하고,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이론적 지식뿐만 아니라,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초기술이 필수적입니다.

사회복지사는 면담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신뢰를 구축하고, 사정을 통해 문제를 분석하며, 적절한 개입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팀워크 기술, 지속적인 지원을 위한 지지망 구축, 클라이언트의 권익 보호를 위한 협상 기술, 실천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평가 및 종결 기술 등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기초기술은 단순히 개별적인 기술이 아니라,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의 자립과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통합적으로 활용해야 하는 필수 역량입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사회복지실천에서 중요한 7가지 기초기술(면담, 사정, 개입, 팀워크, 지지망 구축, 협상, 평가 및 종결)**을 중심으로 그 개념과 실천 방안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1️⃣ 면담 기술 (Interviewing Skills) 🗣

✔️ 클라이언트와의 첫 만남에서 신뢰를 형성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

✔️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s)과 폐쇄형 질문(closed-ended questions)을 적절히 활용

✔️ 경청(active listening)과 반영(reflection) 기법 사용

💡 예시:

✅ "지금 가장 도움이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가요?" (개방형 질문)

✅ "어떤 상황에서 가장 스트레스를 느끼세요?" (공감적 경청)

🚨 주의할 점:

❌ "왜 그렇게 했어요?" → 비판적으로 들릴 수 있음

✅ "그렇게 행동하신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어떤 상황이었나요?" → 공감적 접근

2️⃣ 사정 기술 (Assessment Skills) 🔍

✔️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욕구를 파악하고, 복지 서비스 계획 수립

✔️ 개인, 가족, 지역사회 수준에서 문제를 분석

✔️ 생태체계적 관점(ecological perspective)과 강점관점(strengths perspective) 적용

💡 예시:

✅ "경제적인 어려움 외에도 감정적으로 힘드신 부분이 있나요?" → 다양한 측면에서 문제 분석

✅ "이전에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었을 때,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 클라이언트의 강점 탐색

🚨 주의할 점:

❌ 문제만 강조하는 접근 → "생활이 너무 어려우시겠어요."

✅ 강점 기반 접근 → "어려운 상황에서도 이렇게 노력하셨군요. 대단하십니다!"

3️⃣ 개입 기술 (Intervention Skills) ⚡

✔️ 클라이언트의 문제 해결을 돕기 위해 구체적인 방법 실행

✔️ 개인상담, 집단 프로그램, 심리사회적 개입(psychosocial intervention) 등 활용

✔️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

 

💡 예시:

✅ 한부모 가정 경제적 지원 개입 → "정부 지원금 신청을 도와드릴게요."

✅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개입 → "쉼터나 법률 상담을 연결해 드릴 수 있어요."

🚨 주의할 점:

❌ 클라이언트가 원하지 않는 개입 강요 → "이걸 해야 합니다!"

✅ 자기결정권 존중 → "이 방법 중 어떤 것이 가장 적절할까요?"

4️⃣ 팀워크 기술 (Teamwork Skills) 🤝

✔️ 다양한 전문가(의료진, 심리상담사, 법률가 등)와 협력

✔️ 다학제적 팀(multidisciplinary team)과의 협업

✔️ 원활한 의사소통과 역할 조정

💡 예시:

✅ "이 사례는 정신건강 문제가 포함되어 있으니, 심리상담사와 협력해야겠습니다."

✅ "경제적 지원뿐 아니라 정서적 지원도 필요해 보이네요. 지역사회 기관과 논의해 보겠습니다."

🚨 주의할 점:

❌ 전문가 간 역할 중복 → "제가 다 할 수 있어요!"

✅ 협업 강조 → "각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도와야 합니다."

5️⃣ 지지망 구축 기술 (Support Network Building) 🏡

✔️ 클라이언트가 지속적으로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가족, 친구, 지역사회 자원 연계

✔️ 공식적 지원망(formal support)과 비공식적 지원망(informal support) 활용

✔️ 지지체계(support system)를 강화하여 자립 지원

 

💡 예시:

✅ 독거노인의 사회적 고립 문제 해결 → "지역 복지관 프로그램에 참여해 보시겠어요?"

✅ 청년층 심리적 지지망 구축 → "멘토링 프로그램을 추천해 드릴게요!"

🚨 주의할 점:

❌ 일회성 지원에 그치기 → "일단 도와드렸으니 끝!"

✅ 지속적인 네트워크 연결 → "앞으로도 도움받을 수 있는 기관을 알려드릴게요."

6️⃣ 협상 기술 (Negotiation Skills) ⚖

✔️ 클라이언트의 권리를 보호하고, 필요한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협상

✔️ 정부 기관, 후원단체, 지역사회와 협력하여 최적의 해결책 모색

✔️ 갈등이 발생할 경우 중재(mediation) 역할 수행

💡 예시:

✅ 저소득층 가정의 주거 지원 협상 → "공공임대주택 신청 기준을 완화할 수 있는지 논의해 보겠습니다."

✅ 장애인 취업 지원 협상 → "기업 측과 협의하여 근무 환경 조정이 가능한지 알아보겠습니다."

🚨 주의할 점:

❌ 단순히 요구만 전달 → "이걸 해주세요!"

✅ 상호 이익 고려 → "이 방식이라면 기관과 클라이언트 모두에게 좋은 방향일 것 같습니다."

7️⃣ 평가 및 종결 기술 (Evaluation & Termination Skills) ✅

✔️ 개입의 효과를 측정하고, 목표 달성 여부 확인

✔️ 클라이언트가 독립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준비

✔️ 종결 이후에도 지속적인 지원체계를 유지하도록 조치

💡 예시:

✅ "지난 몇 달 동안 목표했던 부분들이 얼마나 개선되었는지 함께 점검해 볼까요?"

✅ "앞으로도 필요한 경우 언제든지 도움을 요청하셔도 됩니다."

🚨 주의할 점:

❌ 종결 후 방치 → "이제 끝났습니다."

✅ 지속적인 자원 안내 → "앞으로 어려움이 생기면 이곳에서 추가 도움을 받으실 수 있어요."

🎯 정리: 사회복지실천 기초기술 7가지

기술
핵심 내용
면담 기술
신뢰 형성을 위한 대화 기술
사정 기술
문제와 욕구 분석
개입 기술
문제 해결을 위한 실질적 개입
팀워크 기술
전문가 협력 및 다학제적 접근
지지망 구축 기술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연결망 형성
협상 기술
자원 확보 및 중재 역할 수행
평가 및 종결 기술
개입 효과 측정 및 종결 후 지원

📌 맺음말: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이 만드는 변화

사회복지실천은 단순한 지원을 넘어,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삶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면담, 사정, 개입, 팀워크, 지지망 구축, 협상, 평가 및 종결 기술과 같은 다양한 기초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기술이 적절히 활용될 때, 클라이언트는 단기적인 지원을 넘어 자립과 성장의 기회를 얻게 되며, 사회복지사는 보다 효과적인 실천을 할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단순한 정보 제공자가 아니라, 클라이언트와 함께 해결책을 찾아 나가는 동반자입니다. 따라서, 기초기술을 지속적으로 배우고 발전시키는 것은 보다 나은 복지 실천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사회복지 실천의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더 많은 사람들이 희망을 찾고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사회복지사가 되기를 응원합니다. 😊💙

📌 더 깊이 있는 학습을 원하신다면 관련 서적과 연구 자료를 참고하고, 실제 사례를 분석하며 실천 기술을 더욱 강화해보세요! 🚀

참고문헌

  • 김기태, 김난희, 장인협. (2021). 사회복지 실천론. 나눔의 집.
  • Zastrow, C. (2020). Introduction to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Empowering People. Cengage Learning.
  • Hepworth, D. H., Rooney, R. H., Rooney, G. D., & Strom-Gottfried, K. (2016). Direct Social Work Practice: Theory and Skills (10th ed.). Cengage Learning.
  • 한국사회복지사협회. (2023). 사회복지 실천기술과 윤리. 서울: 사회복지출판.
  • Payne, M. (2014). Modern Social Work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 이영분, 이윤로. (2019). 사회복지 실천과 개입. 학지사.
  • NASW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2022). Code of Ethics.
  • 장동일, 박경일. (2022). 사회복지 개론. 양서원.
  • Kadushin, A., & Kadushin, G. (2016). The Social Work Interview: A Guide for Human Service Professionals. Columbia University Press.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기술 #면담기술 #사정기술 #사회복지개입 #팀워크기술 #지지망구축 #협상기술 #평가및종결 #사회복지사역할

 

https://blog.naver.com/soo980421/223746970665

 

사회복지 실천의 핵심! 7가지 기초기술 완벽 정리

사회복지실천의 기초기술의 중요성 사회복지실천은 다양한 환경과 상황 속에서 클라이언트의 복지를 증진하...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