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철학적 관점에서 본 가족 이해와 사회복지적 적용
가족이란 무엇일까요?
우리는 흔히 가족을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집단으로 단순히 이해하지만, 사회복지학에서는 가족을 훨씬 더 깊이 있고 복합적인 구조로 바라봅니다. 특히 가족을 이해할 때 중요한 철학적 물음이 하나 있습니다.

퍼즐 조각으로 구성된 가족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삽화
"가족은 구성원의 합에 불과한가, 아니면 그 이상의 무언가인가?"
이 질문은 단순한 개념의 차이를 넘어, 실제 가족복지 실천, 가족정책 설계, 가족상담 방법에까지 영향을 미칩니다.
이 글에서는 가족을 바라보는 두 가지 철학적 관점인 부분의 합 = 전체, 전체 > 부분의 합을 중심으로, 이를 사회복지의 주요 분야와 연결지어 풀어보고자 합니다.
🔍 1. 철학적 관점: 부분의 합과 전체성
✅ 1) 부분의 합 = 전체
이 관점은 가족을 구성하는 개별 구성원의 특성과 행동이 곧 가족 전체를 정의한다고 봅니다. 즉, 가족은 부모, 자녀, 조부모 등 각각의 존재가 가진 특성들의 총합이라는 것이죠.
- 아동이 건강하면 가족이 건강하다고 본다.
- 가족문제는 개별 구성원의 심리, 경제, 행동 문제로 이해한다.
- 가족복지는 개별 구성원의 욕구 충족에 초점을 둔다.
❗ 예시
가정 내에서 자녀가 학교에 적응하지 못한다면, 이 관점에서는 그 자녀 개인의 심리 문제나 학업 능력 부족을 원인으로 보고, 개별 상담이나 교육적 개입을 제안합니다.
❇️ 2) 전체 > 부분의 합
이 관점은 가족을 **하나의 통합된 체계(system)**로 이해합니다. 각 구성원은 단순한 독립체가 아니라 상호작용, 관계 구조, 역할 수행을 통해 전체 가족의 성격과 기능을 형성합니다.

연결된 빛줄기로 상호작용하는 가족 구성원들로 정서적·상호작용적 관계로 엮인 하나의 체계임을 보여주는 이미지
- 가족문제는 개별 문제가 아닌 관계의 문제일 수 있다.
- 구성원 간 의사소통 방식, 정서적 유대, 갈등 패턴이 가족 전체의 분위기를 좌우한다.
- 가족복지는 가족 전체의 기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 예시
자녀의 학교부적응을 가족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해합니다. 부모 간의 갈등, 과도한 통제, 무관심한 양육태도 등 관계적 요인이 자녀에게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을 고려하고, 가족 전체를 대상으로 한 상담이나 치료를 진행합니다.
🧩 2. 사회복지 영역에서의 적용
이 철학적 차이는 실제로 사회복지 현장에서 가족을 지원하는 방식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 1) 가족복지 실천
구분
|
부분적 접근
|
전체적 접근
|
관점
|
개인 중심 서비스
|
가족 기능 중심 서비스
|
개입 대상
|
아동, 노인, 여성 등 개별 대상자
|
가족 전체
|
실천 전략
|
자녀 학습 지원, 노인 돌봄 등
|
가족 역동 이해, 기능 향상 프로그램
|
예시
|
맞벌이 부모의 자녀 방과 후 돌봄 지원
|
맞벌이 가족의 양육 스트레스 해소 프로그램 운영
|

지역 커뮤니티 센터에서 사회복지사가 가족과 상담하는 장면
시사점
- 부분적 접근은 각 구성원의 욕구를 충족하는 데 유리합니다.
- 전체적 접근은 가족이라는 체계를 회복하고, 지속 가능한 복지 효과를 만들어냅니다.
🏛️ 2) 가족정책 수립
구분
|
부분 중심 정책
|
전체 중심 정책
|
정책 초점
|
개인별 권리 보장
|
가족기능 보호 및 강화
|
대표 정책
|
아동수당, 청소년 자립지원, 노인수발비
|
가족 돌봄휴직제도, 공동양육지원, 부부관계 개선 프로그램
|
접근 방식
|
개별 권익 중심
|
가족의 조화와 유대감 유지 중심
|

다양한 가족 형태(한부모, 핵가족, 다세대 가족)와 관련된 정책 등을 통해 가족정책의 설계와 적용 모습
시사점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족형태(한부모, 조손가족 등)를 고려할 때, 부분 중심 정책은 유연성을 제공하고,
전체 중심 정책은 가족이라는 공동체가 가진 기능과 회복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합니다.
🗣️ 3) 가족상담 실천
구분
|
개인 중심 상담
|
관계 중심 상담
|
초점
|
내담자 개인의 문제
|
가족 간 상호작용 패턴
|
방법
|
인지행동치료, 개인 심리상담
|
구조적 가족치료, 보웬 가족치료 등
|
예시
|
청소년의 불안 치료
|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문제를 가족 전체 상담으로 다룸
|

가족상담실에서 부모와 청소년 자녀가 상담사와 마주 앉아 대화하는 장면
시사점
- 개인 중심 상담은 빠른 개입과 치유에 효과적
- 가족 중심 상담은 **문제의 본질적 원인(관계의 왜곡, 역할 불균형 등)**을 해결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결론: 가족복지는 철학적 균형 위에 있다
가족은 단순히 아버지, 어머니, 자녀 등 구성원의 집합이 아닙니다. 그들 사이의 관계, 상호작용, 역사, 정서적 유대 등 수많은 요소들이 얽혀 하나의 복합적인 "전체"를 이룹니다.
사회복지는 이 두 관점을 균형 있게 적용해야 합니다.
- 개별 욕구를 존중하는 부분 중심 실천
- 가족 체계를 회복하고 강화하는 전체 중심 실천
이 두 가지가 조화를 이룰 때, 가족의 회복력과 지속가능한 복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 Minuchin, S. (1974). Families and Family Therapy. Harvard University Press.
- 보웬, M. (1978).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Jason Aronson.
- 김익균 외 (2018). 『가족복지론』. 학지사.
- 오정수 외 (2021).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 장인협, 오정수 (2015). 『가족복지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