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50x250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전은수교수와 함께하는 사회복지 이야기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핵심: 형성평가, 총괄평가, 모니터링 평가 본문

사회복지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핵심: 형성평가, 총괄평가, 모니터링 평가

전은수교수 2025. 1. 31. 07:09
728x90
반응형
SMALL

📢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원래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는지, 대상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형성평가, 총괄평가, 모니터링 평가의 세 가지 방법은 각각 과정, 성과, 지속적 점검의 역할을 하며, 이러한 평가 방식을 적절히 활용하면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 형성평가

(Formative Evaluation)

(1) 개념

📌 형성평가는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수행되는 평가로, 프로그램의 개선과 발전을 위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주로 프로그램의 초기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실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완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특징

  • 과정 중심: 프로그램의 진행 과정과 운영 방식을 점검합니다.
  • 🔄 실시간 피드백 제공: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조정이 가능합니다.
  • 🛠 문제 해결 및 개선 기회 제공: 참여자의 반응과 운영상의 어려움을 파악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

(3) 예시

  • 📊 사회복지 프로그램 시행 초기, 참여자의 의견을 수집하여 내용 및 방법을 수정하는 과정

그림 : chatgpt

  • 🏥 장애인 재활 프로그램의 중간 점검을 통해 만족도 조사 및 개선 방안 마련
 

그림 : chatgpt

총괄평가

(Summative Evaluation)

(1) 개념

📌 총괄평가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이루어지는 평가로, 프로그램의 성과와 영향력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둡니다. 이를 통해 목표 달성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유사한 프로그램 운영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특징

  • 🎯 결과 중심: 프로그램이 대상자에게 미친 영향을 평가합니다.
  • 📈 성과 및 목표 달성 여부 확인: 정량적, 정성적 데이터를 통해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 🏛 정책 결정 및 향후 계획 수립에 활용: 평가 결과는 향후 유사한 프로그램 운영의 기초 자료로 사용됩니다.

(3) 예시

  • 🩺 노인 대상 건강증진 프로그램 종료 후 참여자의 건강지표 변화를 분석

그림 : chatgpt

  • 🧑‍🎓 청소년 상담 프로그램 종료 후 만족도 조사 및 사회적응도 변화 연구
 

그림 : chatgpt

모니터링 평가

(Monitoring Evaluation)

(1) 개념

📌 모니터링 평가는 프로그램이 계획된 대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평가 방식입니다. 프로그램 운영 중 특정 지표를 설정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문제점을 조기에 발견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특징

  • 🔍 지속적인 점검 및 분석: 프로그램이 원활하게 진행되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합니다.
  • 운영의 적절성 평가: 목표와 실제 운영 사이의 차이를 분석하여 개선 방향을 모색합니다.
  • 🏗 문제 해결 및 최적화 기회 제공: 프로그램 운영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3) 예시

  • 🍽 무료 급식 지원 프로그램에서 참여자 수, 만족도, 영양 상태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그림 : chatgpt

  • 🆘 가정폭력 피해자를 위한 상담 서비스 운영 중 상담 횟수 및 개입 효과 분석

그림 : chatgpt

4. 맺음말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형성평가는 프로그램 운영 중 개선점을 도출하는 역할을 하고, 총괄평가는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성과를 분석하는 데 집중합니다.

또한, 모니터링 평가는 지속적인 점검을 통해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러한 평가 방식들을 균형 있게 활용하면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대상자들의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참고문헌

  • 김성훈, 《사회복지 평가론》, 복지출판사, 2021.
  • 한국사회복지학회,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중요성", 사회복지연구 저널, 2020.
  • 보건복지부,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지침", 2022.
  • 김동수, 《사회복지 프로그램 운영과 평가》, 나눔출판, 2019.
  • 유엔개발계획(UNDP), "사회복지 목표와 지속가능한 발전", 2023.

#사회복지 #프로그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 #모니터링평가 #사회서비스 #사회복지정책 #공공복지 #프로그램운영 #복지행정 #성과평가 #복지서비스 #사회복지학 #사회변화 #복지정책 #서비스평가 #공공서비스 #복지성과 #사회적영향 #운영효율성 #사회복지프로그램 #복지체계 #지속가능성 #사회복지실천 #복지관리

 

https://blog.naver.com/soo980421/223741055645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의 핵심: 형성평가, 총괄평가, 모니터링 평가

📢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주기적인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이...

blog.naver.com

 

728x90
반응형
LIST